100년 만의 고발 / 고증 / 1923 / 시대
영화 '1923 간토대학살'은 관동대지진 직후 벌어진 조선인 학살을 다룬 다큐멘터리로, 거대한 자연재해, 공포 정치, 유언비어가 만든 군중심리, 그리고 오늘까지 이어진 침묵과 부정의 역사를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번 글은 영화가 채택한 고증과 증언 방식, 줄거리 전개, 1923년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작품을 정리해 본다. 고증: 숫자의 정치에서 얼굴의 정치로영화의 미덕은 ‘고증’의 층위를 촘촘히 겹친 방식에 있다. 첫째는 문헌 고증이다. 내무성·경찰·군 문서, 국회 기록, 재판 자료, 지방행정 문건, 당시 신문과 잡지를 대조해 사건의 시계열과 범위를 복원한다. 감독은 특정 문구의 삭제·수정 흔적, 수치의 변천을 타임라인으로 그려 관객이 ‘숫자의 정치’를 눈으로 보게 만든다. 둘째는 지리·현장 고..
2025. 9. 3.
영화 전투왕 내러티브 분석 / 역사 / 줄거리 / 메시지
2022년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전투왕'은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군부독재 정권에 맞서 싸운 이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이상호 기자가 30년 넘게 취재해 온 실화들을 바탕으로 학살, 저항, 은폐, 진실의 시간을 치밀하게 따라간다. 이 글에서는 시대적 배경인 5·18의 역사적 의미, 영화의 줄거리, 그리고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와 상징성을 중심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역사적 맥락 : 영화가 위치한 시대1980년 5월, 이 시기는 한국 현대사에서 민주주의가 가장 처절하게 짓밟힌 시간이자, 동시에 시민들이 스스로 민주주의를 지켜낸 시대다. 영화 '전투왕'은 이 시간을 다룰 때, 단순한 배경 설명을 넘어서 그날의 감정, 그날의 공기, 그날의 침묵까지 복원하려 했다. 당시 대한민국은 ..
2025. 9. 1.